DB 생성
create database testdb;
유저에 모든 권한 부여
grant all privileges on testdb.* to 'connectuser'@'localhost' identified by 'connect123!@#';
flush privileges;
application-dev.properties에 DB관련 설정
# 개발 모드에서는 시작할때마다 DB를 초기화 시키지 않고 없데이트만 사용
spring.jpa.hibernate.ddl-auto=update
spring.datasource.url=jdbc:mysql://localhost:3306/testdb?serverTimezone=UTC&characterEncoding=UTF-8
spring.datasource.username=connectuser
spring.datasource.password=connect123!@#
MailSender에 dev추가
package me.weekbelt.studyolle.mail;
@Slf4j
@Profile({"local", "dev"}) // dev추가
@Component
public class ConsoleMailSender implements JavaMailSender {
// .................
}
참고: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C%8A%A4%ED%94%84%EB%A7%81-JPA-%EC%9B%B9%EC%95%B1#
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- 인프런
이 강좌에서 여러분은 실제로 운영 중인 서비스를 스프링, JPA 그리고 타임리프를 비롯한 여러 자바 기반의 여러 오픈 소스 기술을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. 이 강좌를 충분히 학습한다면 여러분 만의 웹 서비스를 만들거나 취직에 도움이 될만한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을 겁니다. 활용 웹 개발 프레임워크 및 라이브러리 Java Spring Spring Boot Spring Data JPA Thymeleaf 온라인 강의 스
www.inflearn.com
'스프링과 JPA 기반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> 3부 개발 환경 설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5. HTML 이메일 전송하기 (0) | 2020.04.23 |
---|---|
44. MimeMessage 전송하기 (0) | 2020.04.23 |
42. 인텔리J 데이터베이스 탭 (0) | 2020.04.23 |